SELECT¶
SELECT 문은 지정된 테이블에서 원하는 칼럼을 조회한다.
SELECT [ <qualifier> ] <select_expressions>
[{TO | INTO} <variable_comma_list>]
[FROM <extended_table_specification_comma_list>]
[WHERE <search_condition>]
[GROUP BY {col_name | expr} [ASC | DESC], ...[WITH ROLLUP]]
[HAVING <search_condition> ]
[USING INDEX { index_name [,index_name, ...] | NONE }]
[ORDER BY {col_name | expr} [ASC | DESC], ... [NULLS {FIRST | LAST}]
[LIMIT [offset,] row_count]
[FOR UPDATE [OF <spec_name_comma_list>]]
<qualifier> ::= ALL | DISTINCT | DISTINCTROW | UNIQUE
<select_expressions> ::= * | <expression_comma_list> | *, <expression_comma_list>
<variable_comma_list> ::= [:] identifier, [:] identifier, ...
<extended_table_specification_comma_list> ::=
<table_specification> [
{, <table_specification> } ... |
<join_table_specification> ... |
<join_table_specification2> ...
]
<table_specification> ::=
<single_table_spec> [<correlation>] |
<metaclass_specification> [ <correlation> ] |
<subquery> <correlation> |
TABLE ( <expression> ) <correlation>
<correlation> ::= [AS] <identifier> [(<identifier_comma_list>)]
<single_table_spec> ::= [ONLY] [schema_name.]table_name |
ALL [schema_name.]table_name [ EXCEPT [schema_name.]table_name ]
<metaclass_specification> ::= CLASS [schema_name.]class_name
<join_table_specification> ::=
{
[INNER | {LEFT | RIGHT} [OUTER]] JOIN
} <table_specification> ON <search_condition>
<join_table_specification2> ::=
{
CROSS JOIN |
NATURAL [ LEFT | RIGHT ] JOIN
} <table_specification>
qualifier: 한정어. 생략이 가능하며 지정하지 않을 경우에는 ALL 로 지정된다.
ALL: 테이블의 모든 레코드를 조회한다.
DISTINCT: 중복을 허용하지 않고 유일한 값을 갖는 레코드에 대해서만 조회한다. DISTINCTROW, UNIQUE 와 동일하다.
<select_expressions>
*: SELECT * 구문을 사용하면 FROM 절에서 명시한 테이블에 대한 모든 칼럼을 조회할 수 있다.
expression_comma_list : expression 은 칼럼 이름이나 경로 표현식(예: tbl_name.col_name), 변수, 테이블 이름이 될 수 있으며 산술 연산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표현식도 모두 사용될 수 있다. 쉼표(,)는 리스트에서 개별 표현식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 조회하고자 하는 칼럼 또는 연산식에 대해 AS 키워드를 사용하여 별칭(alias)를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별칭은 칼럼 이름으로 사용되어 GROUP BY, HAVING, ORDER BY 절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칼럼의 위치 인덱스(position)는 칼럼이 명시된 순서대로 부여되며, 시작 값은 1이다.
expression에는 AVG, COUNT, MAX, MIN, SUM 과 같이 조회된 데이터를 조작하는 집계 함수가 사용될 수 있다.
schema_name: 스키마 이름을 지정한다. 생략하면 현재 세션의 스키마 이름을 사용한다.
table_name.*: 테이블 이름을 지정한다. *을 사용하면 명시한 테이블의 모든 칼럼을 지정하는 것과 같다.
variable_comma_list: select_expressions 이 조회하는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변수에 저장될 수 있다.
[:]identifier: TO (또는 INTO) 다음에 :identifier를 조회하는 데이터를 ‘:identifier’의 변수에 저장할 수 있다.
<single_table_spec>
ONLY 키워드 뒤에 수퍼클래스 이름이 명시되면, 해당 수퍼클래스만 선택하고 이를 상속받는 서브클래스는 선택하지 않는다.
ALL 키워드 뒤에 수퍼클래스 이름이 지정되면, 해당 수퍼클래스 및 이를 상속받는 서브클래스를 모두 선택한다.
EXCEPT 키워드 뒤에 선택하지 않을 서브클래스 리스트를 명시할 수 있다.
다음은 역대 올림픽이 개최된 국가를 중복 없이 조회한 예제이다. 이 예제는 demodb 의 olympic 테이블을 대상으로 수행하였다. DISTINCT 또는 UNIQUE 키워드는 질의 결과가 유일한 값만을 갖도록 만든다. 예를 들어 host_nation 값이 ‘Greece’인 olympic 인스턴스가 여러 개일 때 질의 결과에는 하나의 값만 나타나도록 할 경우에 사용된다.
SELECT DISTINCT host_nation
FROM olympic;
host_nation
======================
'Australia'
'Belgium'
'Canada'
'Finland'
'France'
...
다음은 조회하고자 하는 칼럼에 칼럼 별칭을 부여하고, ORDER BY 절에서 칼럼 별칭을 이용하여 결과 레코드를 정렬하는 예제이다. 이때, LIMIT 절을 사용하여 결과 레코드 수를 5개로 제한한다.
SELECT host_year as col1, host_nation as col2
FROM olympic
ORDER BY col2 LIMIT 5;
col1 col2
===================================
2000 'Australia'
1956 'Australia'
1920 'Belgium'
1976 'Canada'
1948 'England'
SELECT CONCAT(host_nation, ', ', host_city) AS host_place
FROM olympic
ORDER BY host_place LIMIT 5;
host_place
======================
'Australia, Melbourne'
'Australia, Sydney'
'Belgium, Antwerp'
'Canada, Montreal'
'England, London'
FROM 절¶
FROM 절은 질의에서 데이터를 조회하고자 하는 테이블을 지정한다. 어떤 테이블도 참조하지 않는 경우에는 FROM 절을 생략할 수도 있다. 조회할 수 있는 경로는 다음과 같다.
개별 테이블(single table)
부질의(subquery)
유도 테이블(derived table)
원격 테이블(remote table)
SELECT [<qualifier>] <select_expressions>
[
FROM <table_specification> [ {, <table_specification> | <join_table_specification> }... ]
]
<select_expressions> ::= * | <expression_comma_list> | *, <expression_comma_list>
<table_specification> ::=
<single_table_spec> [<correlation>] |
<remote_table_spec> [<correlation>] |
<metaclass_specification> [<correlation>] |
<subquery> <correlation> |
TABLE (<expression>) <correlation> |
DBLINK (<dblink_expr>) <dblink_identifier_col_attrs>
<correlation> ::= [AS] <identifier> [(<identifier_comma_list>)]
<single_table_spec> ::= [ONLY] [schema_name.]table_name |
ALL [schema_name.]table_name [EXCEPT [schema_name.]table_name]
<remote_table_spec> ::= [schema_name.]table_name@server_name
<metaclass_specification> ::= CLASS [schema_name.]class_name
<select_expressions>: 조회하고자 하는 칼럼 또는 연산식을 하나 이상 지정할 수 있으며, 테이블 내 모든 칼럼을 조회할 때에는 * 를 지정한다. 조회하고자 하는 칼럼 또는 연산식에 대해 AS 키워드를 사용하여 별칭(alias)를 지정할 수 있으며, 지정된 별칭은 칼럼 이름으로 사용되어 GROUP BY, HAVING, ORDER BY 절 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칼럼의 위치 인덱스(position)는 칼럼이 명시된 순서대로 부여되며, 시작 값은 1이다.
<table_specification>: FROM 절 뒤에 하나 이상의 테이블 이름이 명시되며, 부질의와 유도 테이블도 지정될 수 있다. 부질의 유도 테이블에 대한 설명은 부질의 유도 테이블을 참고한다.
--FROM clause can be omitted in the statement
SELECT 1+1 AS sum_value;
sum_value
=============
2
SELECT CONCAT('CUBRID', '2008' , 'R3.0') AS db_version;
db_version
======================
'CUBRID2008R3.0'
유도 테이블¶
질의문에서 FROM 절의 테이블 명세 부분에 부질의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런 형태의 부질의는 부질의 결과가 테이블로 취급되는 유도 테이블(derived table)을 만든다.
또한 유도 테이블은 집합 값을 갖는 속성의 개별 원소를 접근하는데 사용된다. 이 경우 집합 값의 한 원소는 유도 테이블에서 하나의 레코드로 생성된다.
부질의 유도 테이블¶
유도 테이블의 각 레코드는 FROM 절에 주어진 부질의의 결과로부터 만들어진다. 부질의로부터 생성되는 유도 테이블은 임의의 개수의 칼럼과 레코드를 가질 수 있다.
FROM (subquery) [AS] [derived_table_name [(column_name [{, column_name } ... ])]]
column_name 파라미터의 개수와 subquery 에서 만들어지는 칼럼의 개수는 일치해야 한다.
derived_table_name을 생략할 수 있다.
다음은 한국이 획득한 금메달 개수와 일본이 획득한 은메달 개수를 더한 값을 조회하는 예제이다. 이 예제는 유도 테이블을 이용하여 부질의의 중간 결과를 모으고 하나의 결과로 처리하는 방법을 보여준다. 이 질의는 nation_code 칼럼이 ‘KOR’인 gold 값과 nation_code 칼럼이 ‘JPN’인 silver 값의 전체 합을 반환한다.
SELECT SUM (n)
FROM (SELECT gold FROM participant WHERE nation_code = 'KOR'
UNION ALL
SELECT silver FROM participant WHERE nation_code = 'JPN') AS t(n);
부질의 유도 테이블은 외부 질의와 연관되어 있을 때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WHERE 절에서 사용된 부질의의 FROM 절에 유도 테이블이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은메달 및 동메달을 하나 이상 획득한 경우, 해당 은메달과 동메달의 합의 평균보다 많은 수의 금메달을 획득한 nation_code, host_year, gold 필드를 보여주는 질의 예제이다. 이 예제에서는 질의(외부 SELECT 절)와 부질의(내부 SELECT 절)가 nation_code 속성으로 연결되어 있다.
SELECT nation_code, host_year, gold
FROM participant p
WHERE gold > (SELECT AVG(s)
FROM (SELECT silver + bronze
FROM participant
WHERE nation_code = p.nation_code
AND silver > 0
AND bronze > 0)
AS t(s));
nation_code host_year gold
=========================================
'JPN' 2004 16
'CHN' 2004 32
'DEN' 1996 4
'ESP' 1992 13
원격 테이블¶
FROM절에 원격 테이블 (remote table) 을 명시할 수 있으며, 원격 테이블을 명시할 때는 ‘@’를 사용하여 table_name@server_name와 같은 테이블 확장명을 사용한다. 원격 서버는 CUBRID 뿐만아니라 타 DBMS(ORACLE, MySQL 또는 MariaDB)을 사용할 수 있다. 원격 테이블은 최적화 단계를 거치면서 DBLINK 구문으로 재 작성되어 실행된다.
-- at remote-side, "remote_server"
CREATE TABLE remote_tbl (
id INT,
name VARCHAR(32)
);
INSERT INTO remote_tbl VALUES (1, 'Kim');
INSERT INTO remote_tbl VALUES (2, 'Lee');
INSERT INTO remote_tbl VALUES (3, 'Park');
-- at local-side
SELECT *
FROM remote_tbl@remote_server rem
WHERE id < 3;
id name
===================
1 Kim
2 Lee
최적화 단계에서 원격테이블에 대해 DBLINK 구문으로 재 작성된 쿼리는 아래와 같다.
SELECT *
FROM DBLINK(remote_server, 'SELECT id, name FROM remote_tbl WHERE id < 3') AS dbl (id INT, name VARCHAR(32));
Note
테이블 확장명에 허용되는 객체는 일반 테이블, 동의어(synonym), 그리고 뷰가 있다. 아래의 예는 세가지 형태의 테이블 확장명을 보여주고 있다.
-- at remote-side
CREATE TABLE remote_table (
id INT,
phone VARCHAR(12)
};
CREATE SYNONYM a_remote_tbl FOR user_a.remote_table
CREATE VIEW v_remote_tbl(r_phone) AS SELECT phone FROM remote_tble WHERE id > 10;
-- at local-side
-- remote-table
SELECT phone FROM user_a.remote_table@server1 WHERE id > 10;
-- remote-synonym
SELECT phone FROM a_remote_tbl@server1 WHERE id > 10;
-- remote-view
SELECT r_phone FROM v_remote_tbl@server1;
위 3개의 쿼리는 모두 동일한 결과를 리턴한다.
DBLINK¶
원격지에 있는 별도의 DBMS에서 질의를 수행하여 그 결과를 얻을 수 있다. 그 결과는 일종의 부질의로 유도 테이블(derived table)로 생성된다.
FROM DBLINK (<dblink_expr>) [AS] <dblink_identifier_col_attrs>
<dblink_expr> ::= <dblink_conn>, remote_query_sting
<dblink_conn> ::= server_name | dblink_conn_string
<dblink_identifier_col_attrs> ::= dblink_table_alias ( <dblink_column_definition_list> )
<dblink_column_definition_list> ::= dblink_column_alias <primitive_type> [{, dblink_column_alias <primitive_type>} ...]
remote_query_sting: 원격지 DBMS에 전달할 질의문으로 SELECT 쿼리만 지정 할 수 있다.
server_name: 서버 정의문을 사용해서 생성한 서버 이름.
dblink_conn_string: 문자열로 표현된 원격지 접속 정보.
dblink_table_alias: DBLINK를 이용하여 생성하는 유도테이블(derived table) 이름.
dblink_column_alias: DBLINK의 remote_query_sting 의 select list에 대응하는 가상의 컬럼명.
Note
DBLINK에서 지원하는 컬럼의 속성은 다음과 같다.
INT, BIGINT, SHORT, FLOAT, DOUBLE, MONETARY, NUMERIC
VARCHAR, CHAR
DATE, TIME, TIMESTAMP, DATETIME
DATETIMETZ, DATETIMELTZ, TIMESTAMPTZ, TIMESTAMPLTZ
Warning
DBLINK에서는 다음과 같은 속성의 컬럼은 지원하지 않는다.
COLLECTION TYPE ( SET, MULTISET, SEQUENCE )
OBJECT
CLOB / BLOB
ENUM
BIT / BIT VARYING
JSON
Note
dblink_conn_string은 아래와 같은 구조로 구성된다. 각각의 내용은 서버 정의문 구문의 HOST, PORT, DBNAME, USER, PASSWOED, PROPERTIES에 해당하는 정보이다. 각 항목은 ‘:’ 문자로 구분된다.
<broker-host>:<port#>:<db_name>:<db_user>:<db_password>:[?<properties>]
비밀번호의 노출을 막기 위해서는 dblink_conn_string을 이용하기 보다는 server_name을 이용하는 것을 권장한다.
CREATE SERVER remote_srv1 ( HOST='127.0.0.1', PORT=3300, DBNAME=demodb, USER=cub, PASSWORD='cub-password');
SELECT * FROM DBLINK (remote_srv1, 'SELECT col1 FROM remote_t') AS t(col1 int);
SELECT * FROM DBLINK ('127.0.0.1:3300:demodb:cub:cub-password:','SELECT col1, col2 FROM remote_t') AS t(col1 int, col2 varchar(32));
위 예시에서 두 SELECT 구문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한다.
WHERE 절¶
질의에서 칼럼은 조건에 따라 처리될 수 있다. WHERE 절은 조회하려는 데이터의 조건을 명시한다.
WHERE <search_condition>
<search_condition> ::=
<comparison_predicate>
<between_predicate>
<exists_predicate>
<in_predicate>
<null_predicate>
<like_predicate>
<quantified_predicate>
<set_predicate>
WHERE 절은 search_condition 또는 질의에서 조회되는 데이터를 결정하는 조건식을 지정한다. 조건식이 참인 데이터만 질의 결과로 조회된다(NULL 값은 알 수 없는 값으로서 질의 결과로 조회되지 않는다).
search_condition: 자세한 내용은 다음의 항목을 참고한다.
복수의 조건은 논리연산자 AND, OR 를 사용할 수 있다. AND 가 지정된 경우 모든 조건이 참이어야 하고, OR 로 지정된 경우에는 하나의 조건만 참이어도 된다. 만약 키워드 NOT 이 조건 앞에 붙는다면 조건은 반대의 의미를 갖는다. 논리 연산이 평가되는 순서는 다음 표와 같다.
우선순위 |
연산자 |
기능 |
---|---|---|
1 |
( ) |
괄호 내에 포함된 논리 표현식은 첫 번째로 평가된다. |
2 |
NOT |
논리 표현식의 결과를 부정한다. |
3 |
AND |
논리 표현식에 포함된 모든 조건이 참이어야 한다. |
4 |
OR |
논리 표현식에 포함된 조건 중 하나의 조건은 참이어야 한다. |
GROUP BY … HAVING 절¶
SELECT 문으로 검색한 결과를 특정 칼럼을 기준으로 그룹화하기 위해 GROUP BY 절을 사용하며, 그룹별로 정렬을 수행하거나 집계 함수를 사용하여 그룹별 집계를 구할 때 사용한다. 그룹이란 GROUP BY 절에 명시된 칼럼에 대해 동일한 칼럼 값을 가지는 레코드들을 의미한다.
GROUP BY 절 뒤에 HAVING 절을 결합하여 그룹 선택을 위한 조건식을 설정할 수 있다. 즉, GROUP BY 절로 구성되는 모든 그룹 중 HAVING 절에 명시된 조건식을 만족하는 그룹만 조회한다.
SQL 표준에서는 GROUP BY 절에서 명시되지 않은 칼럼(hidden column)을 SELECT 칼럼 리스트에 명시할 수 없지만, CUBRID는 문법을 확장하여 GROUP BY 절에서 명시되지 않은 칼럼도 SELECT 칼럼 리스트에 명시할 수 있다. 확장된 문법을 사용하지 않으려면 only_full_group_by 파라미터 값을 yes로 설정해야 한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구문/타입 관련 파라미터 를 참고한다.
SELECT ...
GROUP BY {col_name | expr | position} [ASC | DESC], ...
[WITH ROLLUP] [HAVING <search_condition>]
col_name | expr | position: 하나 이상의 칼럼 이름, 표현식, 별칭 또는 칼럼 위치가 지정될 수 있으며, 각 항목은 쉼표로 구분된다. 이를 기준으로 칼럼들이 정렬된다.
[ASC | DESC]: GROUP BY 절 내에 명시된 칼럼 뒤에 ASC 또는 DESC 의 정렬 옵션을 명시할 수 있다. 정렬 옵션이 명시되지 않으면 기본 옵션은 ASC 가 된다.
<search_condition>: HAVING 절에 검색 조건식을 명시한다. HAVING 절에서는 GROUP BY 절 내에 명시된 칼럼과 별칭, 또는 집계 함수에서 사용되는 칼럼을 참조할 수 있다.
Note
cubrid.conf의 only_full_group_by 파라미터의 값이 yes인 경우 GROUP BY 절에서 명시되지 않은 칼럼(hidden columns)을 참조할 수도 있는데, 이때 HAVING 조건은 질의 결과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WITH ROLLUP: GROUP BY 절에 WITH ROLLUP 수정자를 명시하면, GROUP BY 된 칼럼 각각에 대한 결과 값이 그룹별로 집계되고 나서, 해당 그룹 행의 전체를 집계한 결과 값이 추가로 출력된다. 즉, 그룹별로 집계한 값에 대해 다시 전체 집계를 수행한다. 그룹 대상 칼럼이 두 개 이상일 경우 앞의 그룹을 큰 단위, 뒤의 그룹을 작은 단위로 간주하여 작은 단위 별 전체 집계 행과 큰 단위의 전체 집계 행이 추가된다. 예를 들어 부서별, 사람별 영업 실적의 집계를 하나의 질의문으로 확인할 수 있다.
-- creating a new table
CREATE TABLE sales_tbl
(dept_no INT, name VARCHAR(20), sales_month INT, sales_amount INT DEFAULT 100, PRIMARY KEY (dept_no, name, sales_month));
INSERT INTO sales_tbl VALUES
(201, 'George' , 1, 450), (201, 'George' , 2, 250), (201, 'Laura' , 1, 100), (201, 'Laura' , 2, 500),
(301, 'Max' , 1, 300), (301, 'Max' , 2, 300),
(501, 'Stephan', 1, 300), (501, 'Stephan', 2, DEFAULT), (501, 'Chang' , 1, 150),(501, 'Chang' , 2, 150),
(501, 'Sue' , 1, 150), (501, 'Sue' , 2, 200);
-- selecting rows grouped by dept_no
SELECT dept_no, avg(sales_amount)
FROM sales_tbl
GROUP BY dept_no;
dept_no avg(sales_amount)
=======================================
201 3.250000000000000e+02
301 3.000000000000000e+02
501 1.750000000000000e+02
-- conditions in WHERE clause operate first before GROUP BY
SELECT dept_no, avg(sales_amount)
FROM sales_tbl
WHERE sales_amount > 100
GROUP BY dept_no;
dept_no avg(sales_amount)
=======================================
201 4.000000000000000e+02
301 3.000000000000000e+02
501 1.900000000000000e+02
-- conditions in HAVING clause operate last after GROUP BY
SELECT dept_no, avg(sales_amount)
FROM sales_tbl
WHERE sales_amount > 100
GROUP BY dept_no HAVING avg(sales_amount) > 200;
dept_no avg(sales_amount)
=======================================
201 4.000000000000000e+02
301 3.000000000000000e+02
-- selecting and sorting rows with using column alias
SELECT dept_no AS a1, avg(sales_amount) AS a2
FROM sales_tbl
WHERE sales_amount > 200 GROUP
BY a1 HAVING a2 > 200
ORDER BY a2;
a1 a2
=======================================
301 3.000000000000000e+02
501 3.000000000000000e+02
201 4.000000000000000e+02
-- selecting rows grouped by dept_no, name with WITH ROLLUP modifier
SELECT dept_no AS a1, name AS a2, avg(sales_amount) AS a3
FROM sales_tbl
WHERE sales_amount > 100
GROUP BY a1, a2 WITH ROLLUP;
a1 a2 a3
=============================================================
201 'George' 3.500000000000000e+02
201 'Laura' 5.000000000000000e+02
201 NULL 4.000000000000000e+02
301 'Max' 3.000000000000000e+02
301 NULL 3.000000000000000e+02
501 'Chang' 1.500000000000000e+02
501 'Stephan' 3.000000000000000e+02
501 'Sue' 1.750000000000000e+02
501 NULL 1.900000000000000e+02
NULL NULL 2.750000000000000e+02
ORDER BY 절¶
ORDER BY 절은 질의 결과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며, ASC 또는 DESC 와 같은 정렬 옵션을 명시하지 않으면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ORDER BY 절을 지정하지 않으면, 조회되는 레코드의 순서는 질의에 따라 다르다.
SELECT ...
ORDER BY {col_name | expr | position} [ASC | DESC], ...] [NULLS {FIRST | LAST}]
col_name | expr | position: 정렬 기준이 되는 칼럼 이름, 표현식, 별칭 또는 칼럼 위치를 지정한다. 하나 이상의 값을 지정할 수 있으며 각 항목은 쉼표로 구분한다. SELECT 칼럼 리스트에 명시되지 않은 칼럼도 지정할 수 있다.
[ASC | DESC]: ASC 은 오름차순, DESC 은 내림차순으로 정렬하며, 정렬 옵션이 명시되지 않으면 오름차순으로 정렬한다.
[NULLS {FIRST | LAST}]: NULLS FIRST는 NULL을 앞에 정렬하며, NULLS LAST는 NULL을 뒤에 정렬한다. 이 구문이 생략될 경우 ASC는 NULL을 앞에 정렬하며, DESC는 NULL을 뒤에 정렬한다.
-- selecting rows sorted by ORDER BY clause
SELECT *
FROM sales_tbl
ORDER BY dept_no DESC, name ASC;
dept_no name sales_month sales_amount
==============================================================
501 'Chang' 1 150
501 'Chang' 2 150
501 'Stephan' 1 300
501 'Stephan' 2 100
501 'Sue' 1 150
501 'Sue' 2 200
301 'Max' 1 300
301 'Max' 2 300
201 'George' 1 450
201 'George' 2 250
201 'Laura' 1 100
201 'Laura' 2 500
-- sorting reversely and limiting result rows by LIMIT clause
SELECT dept_no AS a1, avg(sales_amount) AS a2
FROM sales_tbl
GROUP BY a1
ORDER BY a2 DESC
LIMIT 3;
a1 a2
=======================================
201 3.250000000000000e+02
301 3.000000000000000e+02
501 1.750000000000000e+02
다음은 ORDER BY 절 뒤에 NULLS FIRST, NULLS LAST 구문을 지정하는 예제이다.
CREATE TABLE tbl (a INT, b VARCHAR);
INSERT INTO tbl VALUES
(1,NULL), (2,NULL), (3,'AB'), (4,NULL), (5,'AB'),
(6,NULL), (7,'ABCD'), (8,NULL), (9,'ABCD'), (10,NULL);
SELECT * FROM tbl ORDER BY b NULLS FIRST;
a b
===================================
1 NULL
2 NULL
4 NULL
6 NULL
8 NULL
10 NULL
3 'ab'
5 'ab'
7 'abcd'
9 'abcd'
SELECT * FROM tbl ORDER BY b NULLS LAST;
a b
===================================
3 'ab'
5 'ab'
7 'abcd'
9 'abcd'
1 NULL
2 NULL
4 NULL
6 NULL
8 NULL
10 NULL
Note
GROUP BY 별칭(alias)의 해석
CREATE TABLE t1(a INT, b INT, c INT);
INSERT INTO t1 VALUES(1,1,1);
INSERT INTO t1 VALUES(2,NULL,2);
INSERT INTO t1 VALUES(2,2,2);
SELECT a, NVL(b,2) AS b
FROM t1
GROUP BY a, b; -- Q1
위의 SELECT 질의를 수행할 때 “GROUP BY a, b”는
9.2 이하 버전에서 “GROUP BY a, NVL(b, 2)”(별칭 이름 b)로 해석되며, 아래 Q2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a, NVL(b,2) AS bxxx FROM t1 GROUP BY a, bxxx; -- Q2
a b ====================== 1 1 2 2
9.3 이상 버전에서 “GROUP BY a, b”(칼럼 이름 b)로 해석되며, 아래 Q3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a, NVL(b,2) AS bxxx FROM t1 GROUP BY a, b; -- Q3
a b ====================== 1 1 2 2 2 2
LIMIT 절¶
LIMIT 절은 출력되는 레코드의 개수를 제한할 때 사용한다. LIMIT 절은 prepared statement에 포함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인자로 바인드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LIMIT 절을 포함하는 질의에서는 WHERE 절에 INST_NUM (), ROWNUM 을 포함할 수 없으며, HAVING GROUPBY_NUM ()과 함께 사용할 수 없다.
LIMIT {[offset,] row_count | row_count [OFFSET offset]}
<offset> ::= <limit_expression>
<row_count> ::= <limit_expression>
<limit_expression> ::= <limit_term> | <limit_expression> + <limit_term> | <limit_expression> - <limit_term>
<limit_term> ::= <limit_factor> | <limit_term> * <limit_factor> | <limit_term> / <limit_factor>
<limit_factor> ::= <unsigned int> | <input_hostvar> | ( <limit_expression> )
offset: 출력할 레코드의 시작 행의 오프셋을 지정한다. 결과 셋에 있는 시작 행의 오프셋은 0이다. 생략할 수 있으며 기본값은 0 이다. 부호 없는 정수, 호스트 변수 또는 간단한 표현식 중 하나일 수 있다.
row_count: 출력하고자 하는 레코드 개수를 명시한다. 부호 없는 정수, 호스트 변수 또는 간단한 표현식 중 하나일 수 있다.
-- LIMIT clause can be used in prepared statement
PREPARE stmt FROM 'SELECT * FROM sales_tbl LIMIT ?, ?';
EXECUTE stmt USING 0, 10;
-- selecting rows with LIMIT clause
SELECT *
FROM sales_tbl
WHERE sales_amount > 100
LIMIT 5;
dept_no name sales_month sales_amount
==============================================================
201 'George' 1 450
201 'George' 2 250
201 'Laura' 2 500
301 'Max' 1 300
301 'Max' 2 300
-- LIMIT clause can be used in subquery
SELECT t1.*
FROM (SELECT * FROM sales_tbl AS t2 WHERE sales_amount > 100 LIMIT 5) AS t1
LIMIT 1,3;
-- above query and below query shows the same result
SELECT t1.*
FROM (SELECT * FROM sales_tbl AS t2 WHERE sales_amount > 100 LIMIT 5) AS t1
LIMIT 3 OFFSET 1;
dept_no name sales_month sales_amount
==============================================================
201 'George' 2 250
201 'Laura' 2 500
301 'Max' 1 300
-- LIMIT clause allows simple expressions for both offset and row_count
SELECT *
FROM sales_tbl
WHERE sales_amount > 100
LIMIT ? * ?, (? * ?) + ?;
조인 질의¶
조인은 두 개 이상의 테이블 또는 뷰(view)에 대해 행(row)을 결합하는 질의이다. 조인 질의에서 두 개 이상의 테이블에 공통인 칼럼을 비교하는 조건을 조인 조건이라고 하며, 조인된 각 테이블로부터 행을 가져와 지정된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결과 행을 결합한다.
조인 질의에서 동등 연산자( = )를 이용한 조인 조건을 포함하는 조인 질의를 동등 조인(equi-join)이라 하고, 조인 조건이 없는 조인 질의를 카티션 곱(cartesian products)이라 한다. 또한, 하나의 테이블을 조인하는 경우를 자체 조인(self join)이라 하는데, 자체 조인에서는 FROM 절에 같은 테이블이 두 번 사용되므로 테이블 별칭(alias)을 사용하여 칼럼을 구분한다.
조인된 테이블에 대해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행만 결과를 출력하는 경우를 내부 조인(inner join) 또는 간단 조인(simple join)이라고 하는 반면, 조인된 테이블에 대해 조인 조건을 만족하는 행은 물론 조인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행도 포함하여 출력하는 경우를 외부 조인(outer join)이라 한다.
외부 조인은 왼쪽 테이블의 모든 행이 결과로 출력되는(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오른쪽 테이블의 칼럼들은 NULL로 출력됨) 왼쪽 외부 조인과(left outer join)과 오른쪽 테이블의 모든 행이 결과로 출력되는(조건과 일치하지 않는 왼쪽 테이블의 칼럼들은 NULL로 출력됨) 오른쪽 외부 조인(right outer join)이 있으며, 양쪽의 행이 모두 출력되는 완전 외부 조인(full outer join)이 있다. 외부 조인 질의 결과에서 한쪽 테이블에 대해 대응되는 칼럼 값이 없는 경우, 이는 모두 NULL을 반환된다.
FROM <table_specification> [{, <table_specification>
| { <join_table_specification> | <join_table_specification2> } ...]
<table_specification> ::=
<single_table_spec> [<correlation>] |
<metaclass_specification> [<correlation>] |
<subquery> <correlation> |
TABLE (<expression>) <correlation>
<join_table_specification> ::=
{
[INNER | {LEFT | RIGHT} [OUTER]] JOIN
} <table_specification> ON <search_condition>
<join_table_specification2> ::=
{
CROSS JOIN |
NATURAL [LEFT | RIGHT] JOIN
} <table_specification>
<join_table_specification>
[INNER] JOIN: 내부 조인에 사용되며 조인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
{LEFT | RIGHT} [OUTER] JOIN: LEFT 는 왼쪽 외부 조인을 수행하는 질의를 만드는데 사용되고, RIGHT 는 오른쪽 외부 조인을 수행하는 질의를 만드는데 사용된다.
<join_table_specification2>
CROSS JOIN: 교차 조인에 사용되며, 조인 조건을 사용하지 않는다.
NATURAL [ LEFT | RIGHT ] JOIN: 자연 조인에 사용되며, 조인 조건을 사용하지 않는다. 같은 이름의 칼럼끼리 동등 조건을 가지는 것과 같이 동작한다.
내부 조인¶
내부 조인은 조인을 위한 조건이 반드시 필요하다. INNER JOIN 키워드는 생략할 수 있으며, 생략하면 테이블 사이를 쉼표(,)로 구분하고, ON 조인 조건을 WHERE 조건으로 대체할 수 있다.
다음은 내부 조인을 이용하여 1950년 이후에 열린 올림픽 중에서 신기록이 세워진 올림픽의 개최연도와 개최국가를 조회하는 예제이다. 다음 질의는 history 테이블의 host_year 가 1950보다 큰 범위에서 값이 존재하는 레코드를 가져온다. 다음 두 개의 질의는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nation
FROM history h INNER JOIN olympic o ON h.host_year = o.host_year AND o.host_year > 1950;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nation
FROM history h, olympic o
WHERE h.host_year = o.host_year AND o.host_year > 1950;
host_year host_nation
===================================
1968 'Mexico'
1980 'U.S.S.R.'
1984 'United States of America'
1988 'Korea'
1992 'Spain'
1996 'United States of America'
2000 'Australia'
2004 'Greece'
외부 조인¶
CUBRID는 외부 조인 중 왼쪽 외부 조인과 오른쪽 외부 조인만 지원하며, 완전 외부 조인(full outer join)을 지원하지 않는다. 또한, 외부 조인에서 조인 조건에 부질의와 하위 칼럼을 포함하는 경로 표현식을 사용할 수 없다.
외부 조인의 경우 조인 조건은 내부 조인의 경우와는 다른 방법으로 지정된다. 내부 조인의 조인 조건은 WHERE 절에서도 표현될 수 있지만, 외부 조인의 경우에는 조인 조건이 FROM 절 내의 ON 키워드 뒤에 나타난다. 다른 검색 조건은 WHERE 절이나 ON 절에서 사용할 수 있지만 검색 조건이 WHERE 절에 있을 때와 ON 절에 있을 때 질의 결과가 달라질 수 있다.
FROM 절에 명시된 순서대로 테이블 실행 순서가 고정되므로, 외부 조인을 사용하는 경우 테이블 순서에 주의하여 질의문을 작성한다. 외부 조인 연산자 ‘(+)’를 WHERE 절에 명시하여 Oracle 스타일의 조인 질의문도 작성 가능하나, 실행 결과나 실행 계획이 원하지 않는 방향으로 유도될 수 있으므로 {LEFT | RIGHT} [OUTER] JOIN을 이용한 표준 구문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다음은 오른쪽 외부 조인을 이용하여 1950년 이후에 열린 올림픽에서 신기록이 세워진 올림픽의 개최국가와 개최연도를 조회하되, 신기록이 세워지지 않은 올림픽에 대한 정보도 포함하는 예제이다. 이 예제는 오른쪽 외부 조인이므로, olympic 테이블의 host_nation 의 모든 레코드를 포함하고, 값이 존재하지 않는 history 테이블의 host_year에 대해서는 칼럼 값으로 NULL을 반환한다.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year, o.host_nation
FROM history h RIGHT OUTER JOIN olympic o ON h.host_year = o.host_year
WHERE o.host_year > 1950;
host_year host_year host_nation
================================================
NULL 1952 'Finland'
NULL 1956 'Australia'
NULL 1960 'Italy'
NULL 1964 'Japan'
NULL 1972 'Germany'
NULL 1976 'Canada'
1968 1968 'Mexico'
1980 1980 'USSR'
1984 1984 'USA'
1988 1988 'Korea'
1992 1992 'Spain'
1996 1996 'USA'
2000 2000 'Australia'
2004 2004 'Greece'
다음은 왼쪽 외부 조인을 이용하여 위와 동일한 결과를 출력하는 예제이다. FROM 절에서 두 테이블의 순서를 바꾸어 명시한 후, 왼쪽 외부 조인을 수행한다.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year, o.host_nation
FROM olympic o LEFT OUTER JOIN history h ON h.host_year = o.host_year
WHERE o.host_year > 1950;
host_year host_year host_nation
================================================
NULL 1952 'Finland'
NULL 1956 'Australia'
NULL 1960 'Italy'
NULL 1964 'Japan'
NULL 1972 'Germany'
NULL 1976 'Canada'
1968 1968 'Mexico'
1980 1980 'USSR'
1984 1984 'USA'
1988 1988 'Korea'
1992 1992 'Spain'
1996 1996 'USA'
2000 2000 'Australia'
2004 2004 'Greece'
다음은 WHERE 절에서 (+)를 사용해서 외부 조인 질의를 작성한 예이며, 위와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단, (+) 연산자를 이용한 Oracle 스타일의 외부 조인 질의문은 ISO/ANSI 표준이 아니며 모호한 상황을 만들어 낼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표준 구문인 LEFT OUTER JOIN(또는 RIGHT OUTER JOIN)을 사용할 것을 권장한다.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year, o.host_nation
FROM history h, olympic o
WHERE o.host_year = h.host_year(+) AND o.host_year > 1950;
host_year host_year host_nation
================================================
NULL 1952 'Finland'
NULL 1956 'Australia'
NULL 1960 'Italy'
NULL 1964 'Japan'
NULL 1972 'Germany'
NULL 1976 'Canada'
1968 1968 'Mexico'
1980 1980 'USSR'
1984 1984 'USA'
1988 1988 'Korea'
1992 1992 'Spain'
1996 1996 'USA'
2000 2000 'Australia'
2004 2004 'Greece'
이상의 예에서 h.host_year = o.host_year 는 외부 조인 조건이고 o.host_year > 1950은 검색 조건이다. 만약 검색 조건이 WHERE 절이 아닌 ON 절에서 조인 조건으로 사용될 경우 질의의 의미와 결과는 달라진다. 다음 질의는 o.host_year 가 1950보다 크지 않은 값도 질의 결과에 포함된다.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year, o.host_nation
FROM olympic o LEFT OUTER JOIN history h ON h.host_year = o.host_year AND o.host_year > 1950;
host_year host_year host_nation
================================================
NULL 1896 'Greece'
NULL 1900 'France'
NULL 1904 'USA'
NULL 1908 'United Kingdom'
NULL 1912 'Sweden'
NULL 1920 'Belgium'
NULL 1924 'France'
NULL 1928 'Netherlands'
NULL 1932 'USA'
NULL 1936 'Germany'
NULL 1948 'England'
NULL 1952 'Finland'
NULL 1956 'Australia'
NULL 1960 'Italy'
NULL 1964 'Japan'
NULL 1972 'Germany'
NULL 1976 'Canada'
1968 1968 'Mexico'
1980 1980 'USSR'
1984 1984 'USA'
1988 1988 'Korea'
1992 1992 'Spain'
1996 1996 'USA'
2000 2000 'Australia'
2004 2004 'Greece'
위의 예에서 LEFT OUTER JOIN은 왼쪽 테이블의 행이 조건에 부합하지 않더라도 모든 행을 결과 행에 결합해야 하므로, 왼쪽 테이블의 칼럼 조건인 “AND o.host_year > 1950”는 이므로 무시된다. 그러나 “WHERE o.host_year > 1950”는 조인이 완료된 이후에 적용된다. OUTER JOIN에서는 ON 절 뒤의 조건과 WHERE 절 뒤의 조건이 다르게 적용될 수 있음에 주의해야 한다.
교차 조인¶
교차 조인은 아무런 조건 없이 두 개의 테이블을 결합한 것, 즉 카티션 곱(cartesian product)이다. 교차 조인에서 CROSS JOIN 키워드는 생략할 수 있으며, 생략하려면 테이블 사이를 쉼표(,)로 구분한다.
다음은 내부 조인을 이용하여 1950년 이후에 열린 올림픽 중에서 신기록이 세워진 올림픽의 개최연도와 개최국가를 조회하는 예제이다. 다음 질의는 history 테이블의 host_year 가 1950보다 큰 범위에서 값이 존재하는 레코드를 가져온다.
다음은 교차 조인을 작성한 예이다. 다음 두 개의 질의는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nation
FROM history h CROSS JOIN olympic o;
SELECT DISTINCT h.host_year, o.host_nation
FROM history h, olympic o;
host_year host_nation
===================================
1968 'Australia'
1968 'Belgium'
1968 'Canada'
1968 'England'
1968 'Finland'
1968 'France'
1968 'Germany'
...
2004 'Spain'
2004 'Sweden'
2004 'USA'
2004 'USSR'
2004 'United Kingdom'
144 rows selected. (1.283548 sec) Committed.
자연 조인¶
각 테이블에서 조인할 칼럼 이름이 같은 경우 즉, 해당 칼럼끼리 동등 조건(=)을 부여하고자 하는 경우 내부/외부 조인을 대체하는 자연 조인(natural join)을 사용할 수 있다.
CREATE TABLE t1 (a int, b1 int);
CREATE TABLE t2 (a int, b2 int);
INSERT INTO t1 values(1,1);
INSERT INTO t1 values(3,3);
INSERT INTO t2 values(1,1);
INSERT INTO t2 values(2,2);
다음은 NATURAL JOIN을 수행하는 예이다.
SELECT /*+ RECOMPILE*/ *
FROM t1 NATURAL JOIN t2;
위의 질의를 수행하는 것은 아래의 질의를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며,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 RECOMPILE*/ *
FROM t1 INNER JOIN t2 ON t1.a=t2.a;
a b1 a b2
================================================
1 1 1 1
다음은 NATURAL LEFT JOIN을 수행하는 예이다.
SELECT /*+ RECOMPILE*/ *
FROM t1 NATURAL LEFT JOIN t2;
위의 질의를 수행하는 것은 아래의 질의를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며,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 RECOMPILE*/ *
FROM t1 LEFT JOIN t2 ON t1.a=t2.a;
a b1 a b2
====================================================
1 1 1 1
3 3 NULL NULL
다음은 NATURAL RIGHT JOIN을 수행하는 예이다.
SELECT /*+ RECOMPILE*/ *
FROM t1 NATURAL RIGHT JOIN t2;
위의 질의는 아래의 질의를 수행하는 것과 동일하며,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 RECOMPILE*/ *
FROM t1 RIGHT JOIN t2 ON t1.a=t2.a;
a b1 a b2
====================================================
1 1 1 1
NULL NULL 2 2
부질의¶
부질의는 질의 내에서 SELECT 절이나 WHERE 절 등 표현식이 가능한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부질의가 표현식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반드시 단일 칼럼을 반환해야 하지만, 표현식이 아닌 경우에는 하나 이상의 행이 반환될 수 있다. 부질의가 사용되는 경우에 따라 단일 행 부질의와 다중 행 부질의로 나뉠 수 있다.
단일 행 부질의¶
단일 행 부질의는 하나의 칼럼을 갖는 하나의 행을 만든다. 부질의에 의해 행이 반환되지 않을 경우에 부질의 표현식은 NULL 을 가진다. 만약 부질의가 두 개 이상의 행을 반환하도록 만들어진 경우에는 에러가 발생한다.
다음은 역대 기록 테이블을 조회하는데, 신기록을 수립한 올림픽이 개최된 국가도 함께 조회하는 예제이다. 이 예제는 표현식으로 사용된 단일 행 부질의를 보여준다. 이 예에서 부질의는 olympic 테이블에서 host_year 칼럼 값이 history 테이블의 host_year 칼럼 값과 같은 행에 대해 host_nation 값을 반환한다. 조건에 일치되는 값이 없을 경우 부질의 결과는 NULL 이 표시된다.
SELECT h.host_year, (SELECT host_nation FROM olympic o WHERE o.host_year=h.host_year) AS host_nation,
h.event_code, h.score, h.unit
FROM history h;
host_year host_nation event_code score unit
============================================================================================
2004 'Greece' 20283 '07:53.0' 'time'
2004 'Greece' 20283 '07:53.0' 'time'
2004 'Greece' 20281 '03:57.0' 'time'
2004 'Greece' 20281 '03:57.0' 'time'
2004 'Greece' 20281 '03:57.0' 'time'
2004 'Greece' 20281 '03:57.0' 'time'
2004 'Greece' 20326 '210' 'kg'
2000 'Australia' 20328 '225' 'kg'
2004 'Greece' 20331 '237.5' 'kg'
...
다중 행 부질의¶
다중 행 부질의는 지정된 칼럼을 갖는 하나 이상의 행을 반환한다. 다중 행 부질의 결과는 적절한 키워드를 사용하여 SET, MULTISET, LIST (= SEQUENCE)를 만드는데 사용될 수 있다.
다음은 국가 테이블에서 국가 이름과 수도 이름을 조회하되, 올림픽을 개최한 국가는 개최도시를 LIST 로 묶어 함께 조회하는 예제이다. 이 예제 같은 경우는 부질의 결과를 이용하여 olympic 테이블의 host_city 칼럼 값으로 LIST 로 만든다. 이 질의는 nation 테이블에 대해 name, capital 값과 host_nation 값을 포함하는 olympic 테이블의 host_city 값에 대한 집합을 반환한다. 질의 결과에서 name 값이 공집합인 경우는 제외되고, name 과 같은 값을 갖는 olympic 테이블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공집합이 반환된다.
SELECT name, capital, list(SELECT host_city FROM olympic WHERE host_nation = name) AS host_cities
FROM nation;
name capital host_cities
==================================================================
'Somalia' 'Mogadishu' {}
'Sri Lanka' 'Sri Jayewardenepura Kotte' {}
'Sao Tome & Principe' 'Sao Tome' {}
...
'U.S.S.R.' 'Moscow' {'Moscow'}
'Uruguay' 'Montevideo' {}
'United States of America' 'Washington.D.C' {'Atlanta ', 'St. Louis', 'Los Angeles', 'Los Angeles'}
'Uzbekistan' 'Tashkent' {}
'Vanuatu' 'Port Vila' {}
이런 형태의 다중 행 부질의 표현식은 컬렉션 타입의 값을 갖는 표현식이 허용되는 모든 곳에서 사용할 수 있다. 단, 클래스 속성 정의에서 DEFAULT 명세 부분과 같이 컬렉션 타입의 상수 값이 요구되는 곳에는 사용될 수 없다.
부질의 내에서 ORDER BY 절을 명시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경우 다중 행 부질의 결과의 순서는 지정되지 않으므로, LIST (= SEQUENCE)를 생성하는 다중 행 부질의는 ORDER BY 절을 사용하여 결과의 순서를 지정해야 한다.
VALUES¶
VALUES 절은 표현식에 명시된 행 값들을 출력한다. 대부분 상수 테이블을 생성할 때 사용하지만, VALUES 절 자체만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VALUES 절에 한 개 이상의 행이 지정되면 모든 행은 같은 개수의 원소를 가져야 한다.
VALUES (expression[, ...])[, ...]
expression: 괄호로 감싸인 표현식은 테이블에서의 하나의 행을 나타낸다.
VALUES 절은 상수 값으로 구성된 UNION ALL 질의문을 단순하게 표현하는 방법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은 질의문을 실행할 수 있다.
VALUES (1 AS col1, 'first' AS col2), (2, 'second'), (3, 'third'), (4, 'fourth');
위 질의문은 다음과 같은 결과를 출력한다.
SELECT 1 AS col1, 'first' AS col2
UNION ALL
SELECT 2, 'second'
UNION ALL
SELECT 3, 'third'
UNION ALL
SELECT 4, 'fourth';
다음은 INSERT 문 안에서 여러 행을 갖는 VALUES 절을 사용하는 예이다.
INSERT INTO athlete (code, name, gender, nation_code, event)
VALUES ('21111', 'Jang Mi-Ran ', 'F', 'KOR', 'Weight-lifting'),
('21112', 'Son Yeon-Jae ', 'F', 'KOR', 'Rhythmic gymnastics');
다음은 FROM 절에서 부질의(subquery)로 사용하는 예이다.
SELECT a.*
FROM athlete a, (VALUES ('Jang Mi-Ran', 'F'), ('Son Yeon-Jae', 'F')) AS t(name, gender)
WHERE a.name=t.name AND a.gender=t.gender;
code name gender nation_code event
=====================================================================================================
21111 'Jang Mi-Ran' 'F' 'KOR' 'Weight-lifting'
21112 'Son Yeon-Jae' 'F' 'KOR' 'Rhythmic gymnastics'
FOR UPDATE¶
FOR UPDATE 절은 UPDATE/DELETE 문을 수행하기 위해 SELECT 문에서 반환되는 행들에 잠금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SELECT ... [FOR UPDATE [OF <spec_name_comma_list>]]
<spec_name_comma_list> ::= <spec_name> [, <spec_name>, ... ]
<spec_name> ::= [schema_name.]table_name | [schema_name.]view_name
<spec_name_comma_list>: FROM 절에서 참조하는 테이블/뷰들의 목록
<spec_name_comma_list>에 참조된 테이블/뷰만 잠긴다. <spec_name_comma_list>가 누락되었지만 FOR UPDATE 가 있는 경우 SELECT 질의문의 FROM 절에 있는 모든 테이블/뷰가 참조된다고 가정한다. 행은 X_LOCK 을 사용하여 잠근다.
Note
제약 사항
부질의 안에서 FOR UPDATE 절을 사용할 수 없다. 단, FOR UPDATE 절이 부질의를 참조할 수는 있다.
GROUP BY, DISTINCT 또는 집계 함수를 가진 질의문에서 사용할 수 없다.
UNION 을 참조할 수 없다.
다음은 SELECT … FOR UPDATE 문을 사용하는 예이다.
CREATE TABLE t1(i INT);
INSERT INTO t1 VALUES (1), (2), (3), (4), (5);
CREATE TABLE t2(i INT);
INSERT INTO t2 VALUES (1), (2), (3), (4), (5);
CREATE INDEX idx_t2_i ON t2(i);
CREATE VIEW v12 AS SELECT t1.i AS i1, t2.i AS i2 FROM t1 INNER JOIN t2 ON t1.i=t2.i;
SELECT * FROM t1 ORDER BY 1 FOR UPDATE;
SELECT * FROM t1 ORDER BY 1 FOR UPDATE OF t1;
SELECT * FROM t1 INNER JOIN t2 ON t1.i=t2.i ORDER BY 1 FOR UPDATE OF t1, t2;
SELECT * FROM t1 INNER JOIN (SELECT * FROM t2 WHERE t2.i > 0) r ON t1.i=r.i WHERE t1.i > 0 ORDER BY 1 FOR UPDATE;
SELECT * FROM v12 ORDER BY 1 FOR UPDATE;
SELECT * FROM t1, (SELECT * FROM v12, t2 WHERE t2.i > 0 AND t2.i=v12.i1) r WHERE t1.i > 0 AND t1.i=r.i ORDER BY 1 FOR UPDATE OF r;